유산균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
- 균주: 다양한 균주가 존재하며, 각 균주마다 효능이 다릅니다. 위절제술 후에는 특히 장내 환경을 안정화시키고, 헬리코박터균 억제에 효과적인 균주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생균수: 생균수가 높을수록 유산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,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절한 생균수를 선택해야 합니다.
- 내산성, 내담즙성: 위산과 담즙산에 강한 내산성, 내담즙성을 가진 유산균이 위절제술 후에도 장까지 살아서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부가 기능: 헬리코박터균 억제 기능 외에도 장 운동을 조절하고, 면역력을 높이는 등의 부가 기능을 가진 유산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추천 유산균
- 락토바실러스 균주: 장내 유익균 증식을 촉진하고, 헬리코박터균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- 비피도박테리움 균주: 장내 환경을 안정화시키고,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- 사카로미세스 불가리스: 장 운동을 조절하고, 설사를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.
헬리코박터균 박멸을 위한 유산균
헬리코박터균 박멸을 위해서는 유산균 단독으로는 부족하며, 의사의 진료를 받고 항생제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. 일부 유산균은 항생제 치료와 함께 복용하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
추가 정보
- 유산균 함유 식품: 요구르트, 김치, 된장 등 유산균 함유 식품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- 프리바이오틱스: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프리바이오틱스를 함께 섭취하면 유산균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.